국산차 2025년 9월 국산차 판매순위 총정리

2025년 9월 국산차 판매순위 총정리
쏘렌토의 부활, 아반떼의 꾸준함, 그리고 전기차의 성장세
2025년 9월 국산차 판매순위가 공개됐습니다.
이번 달은 SUV의 강세가 여전하지만, 세단과 전기차가 함께 반등하며 시장의 균형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기아 쏘렌토가 1위 자리를 되찾으며 다시 한번 RV 시장의 중심임을 증명했고,
현대 아반떼는 세단 시장의 저력을 이어갔습니다.
하반기 신차 출고 정상화와 생산 일정 조정이 맞물리면서 전체 판매량은 전월 대비 소폭 상승했습니다.
핵심 요약
- 기아 쏘렌토 8,978대 판매, 전월 대비 37% 증가
- 현대 아반떼, 전년 동월 대비 2배 이상 증가
- 세단·SUV·전기차의 고른 수요 회복
- 브랜드 순위: 현대 1위, 기아 2위, 제네시스 3위
- 전기차 라인업 다양화 및 보조금 효과 가시화
국산차 9월 판매순위 1~10위
9월의 1위는 기아 쏘렌토였습니다. 판매량은 8,978대로 전월 대비 37% 증가하며 강력한 1위 복귀를 알렸습니다. 하이브리드 모델의 공급이 안정되면서 SUV 시장의 중심을 확실히 잡았습니다.
2위는 현대 아반떼로, 전월과 유사한 판매량을 유지했지만 전년 대비 100% 이상 성장했습니다.
세단 시장에서 꾸준히 수요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3위는 기아 카니발로 6,758대 판매, 전월 대비 12% 상승했습니다. 레저 시즌과 가족용 수요가 맞물리며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4위 스포티지, 5위 싼타페도 각각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싼타페는 한동안 판매량이 저조했는데 9월 전월 대비 74% 이상 급증했습니다.
그랜저, 포터2, 투싼, 셀토스, 쏘나타 디 엣지 역시 안정적인 순위를 유지했습니다.
쏘나타는 35% 이상 증가하였는데 쏘나타의 판매량은 택시와 연계가 되어 있어 택시 판매량이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산차 9월 판매순위 11~20위

11~20위권에서는 세단과 SUV가 균형을 이루었습니다. 디 올 뉴 팰리세이드는 8월 대비 20% 이상
감소했지만, 여전히 대형 SUV 시장의 강세 모델로 꼽히고 있습니다. 기아 레이는 15% 가까이 상승하며
경차 시장의 부활을 이끌었습니다.
현대 코나는 전기차와 내연기관 모델을 합산해 19% 상승했습니다. 제네시스 G80은 전월 대비 18%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소폭 하락했습니다.
기아 봉고3, K5, 현대 스타리아 등은 견고한 중위권을 형성했습니다.
특히 K5는 37% 증가하며 세단의 저력을 보여줬고, 스타리아는 디젤모델 생산이 7월 중단되었는데
남은 재고로 판매가 되고 있는건지 아니면 하이브리드 모델의 판매량이 좋은건지 큰 판매량 저하는 되지 않고 있습니다.
국산차 9월 판매순위 21~30위

전월 대비 상승 모델
- 더 뉴 아이오닉5 (+36.9%)
- EV6 (+22.4%)
- 아이오닉9 (+37.3%)
- 더 뉴 캐스퍼 (+48.4%)
- EV4 (+2.4%)
- K8 (+9.2%지만 연간 감소세)
- 액티언 (+1.6%)
전기차와 신차 중심의 상승이 뚜렷했습니다. 아이오닉5와 EV6, EV4는 보조금 이슈가 해소되면서
판매가 늘었고, 더 뉴 캐스퍼는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액티언 기본 모델의 경우 호평보다는 혹평이 가득했었지만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 이후 호평이 이어지면서 판매량이 증가했습니다.
과연 기본 모델의 절차를 밟지 않고 꾸준한 인기를 이어갈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전월 대비 하락 모델
- EV3 (-16.8%)
- 모닝 (-13.2%)
모닝은 점점 경차를 찾는 사람들이 적어짐에 따라 생산댓수를 줄이면서 최근에는 대기기간이 8개월에
달할만큼 출고까지 오래 걸리는 상황입니다. 그로 인한 영향이 있어 보이고 EV3는 초기 인기가 많았고 금융사들이 선발주 형식으로 많이 주문하여 판매량이 늘었었지만 최근 선발주 물량들의 판매가 주춤하면서 전체적인 판매량 감소로 이어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국산차 9월 판매순위 31~40위

전월 대비 상승 모델
- 캐스퍼 일렉트릭 (+112.7%)
- 베뉴 (+23.2%)
- PV5 (+317%)
- 더 뉴 아이오닉6 (+185%)
- 더 뉴 토레스 (+73%)
- 트랙스 크로스오버 (+1.9%)
이 구간은 전기 상용차와 소형 SUV가 주도했습니다. PV5는 PBV (Purpose Built Vehicle) 상용 전기차 시장의 새로운 주자로, 기업 물류 수요가 본격화됐습니다.
캐스퍼와 캐스퍼 일렉트릭은 위탁생산 형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생산 공장의 노사간 갈등에 의해 공급 차질이 생기고 있고 해외 시장의 인기가 많아서 경쟁이 심하다 보니 경쟁의 우위를 위하여 전략적으로
수출 물량을 크게 늘리다 보니 도리어 국내시장의 대기기간이 길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한번 조정기간이나 물량이 터지면 그동안 대기했던 구매자들에게 한번에 인도되면서
판매량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전월 대비 하락 모델
- 니로 (-1.3%)
- 무쏘 EV (-7.9%)
- 타스만 (-12.4%)
- G90 (-0.3%)
니로는 소폭 하락했지만 하이브리드 시장에서는 여전히 인기있는 모델입니다.
무쏘 EV와 타스만은 공급량과 시장 대응이 제한적이어서 일시적인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국산차 9월 판매순위 41~50위

전월 대비 상승 모델
- 아르카나 (+17.5%)
- 티볼리 (+6.8%)
- QM6 (+10.9%)
- ST1 (+54.2%)
- 아반떼 N (+23.1%)
- 트레일블레이저 (+2.7%)
- 무쏘 칸 (+6.1%)
르노코리아의 아르카나와 QM6가 소폭 반등했고, 현대 ST1은 전기 상용차 시장에서 50% 이상 급증하며 의미 있는 성장을 보였습니다. 아반떼 N은 퍼포먼스 세단으로 젊은 소비자층의 수요가 뚜렷했습니다.
전월 대비 하락 모델
무쏘 스포츠 (-13.0%)
G70 (-13.0%)
무쏘 칸의 경우 소폭 판매량이 증가하긴 했지만 최근 스포츠와 칸은 여전히 디젤엔진으로만 들어가 있고 픽업트럭의 특성상 승용차처럼 짧은 기간에 바꾸는 성향이 많이 없다 보니 디젤엔진이라는 부담과
전기 상용차 중심 시장 구조 속에서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G70은 한번의 단종설을 딛고 계속 판매를 하고 있지만 다시 한번 단종설이 돌고 있는 상황입니다.
워낙 판매량이 적기도 하고 최근 제네시스도 전기차 중심으로 새로운 차량들을 내놓을 예정이기 때문에
G70도 단종 또는 전기차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부 소식을 통해서는 26년식을 마지막으로 단종이 될 거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리고 새롭게 EV5가 나왔는데 크기로만 따져 기존 차량과 비교하면 스포티지 급으로 보입니다.
워낙 EV3가 가성비 좋게 나오다 보니 EV5가 상대적으로 비싸게 보이는데요 EV3는 4천만원대 초중반으로 보조금 혜택을 받는다면 3천만원대 구매가 가능하고 EV5의 경우 5~6천만원으로 차이가 꽤 납니다. 하지만 보조금이 아무래도 가격으로 인해 줄어들 수 있어 구매 가격 차이는 1천만원 이상
더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거기에 패밀리 룩을 적용하다 보니 EV3에 비해 월등히 크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데 비슷한 디자인으로
인하여 감흥이 없고 동일한 배터리를 장착한다면 주행거리도 비슷 실내공간도 큰 메리트가 없다는
얘기가 많이 돌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새롭게 나온 EV5가 국내시장에서 잘 정착할 수 있을지는 좀 더 주고봐야겠습니다.
국산차 9월 브랜드별 판매 순위

현대차는 5,6463대로 1위를 유지했고, 기아는 4,9201대로 2위를 기록했습니다.
제네시스는 9,538대로 프리미엄 브랜드 중 안정세를 보였습니다.
르노코리아는 4,182대, KGM은 4,100대로 지난달 잠시 뒤집혔던 르노와 KGM의 순위는
다시 바뀌었습니다.
쉐보레는 1,208대를 기록했습니다.
국산차 전체 판매량은 124,692대로 전월 대비 증가, 전년 대비 모두 10% 이상 성장했습니다.
이렇게 국산차 9월 판매순위 및 판매량 모두 알아보았습니다. 2025년 9월은 SUV의 강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세단과 전기차가 동시에 성장하며 시장이 균형을 찾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쏘렌토와 아반떼의 양강 체제가 유지되는 동시에, 하위권에서는 전기 상용차와 신형 전기차 시리즈가 빠르게 세를 넓히고 있습니다.
10월에는 명절 연휴로 인하여 판매량은 좀 줄어들 것으로 예측이 됩니다.
대기기간이 긴 국산차 하이브리드 차량 즉시출고 장기렌트 / 운용리스 가능한 차량들 있습니다.
문의 주세요!!!
댓글 [0]
댓글이 없어요.
배너 광고문의 1833-4765



